소매 지표를 추적하는 일은 매장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시간과 자원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판매, 재고, 직원, 고객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비즈니스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Mckinsey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소매 업계에서 선두 기업과 후발 주자 간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계속해서 우위를 유지하려면, 자신의 비즈니스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고 성공에 중요한 핵심 지표들을 꾸준히 추적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어떤 지표를 살펴봐야 할까요? 이는 각 비즈니스의 성격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핵심성과지표(KPI)는 다른 지표보다 여러분의 사업에 더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제곱피트당 판매는 한정된 매장 공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곱피트당 판매 지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 지표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한계가 있는지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이란?
제곱피트당 판매는 매장 공간 1제곱피트당 발생한 평균 매출을 계산한 수치입니다.
이 지표는 수년간 오프라인 소매 업계에서 성공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한정된 매장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매출을 잘 이끌어내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매장 운영팀이 상품을 선택하고 진열하는 데 있어 여러 면에서 효과적인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을 추적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제곱피트당 판매는 적절한 상품을, 적절한 장소에, 적절한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제곱피트당 판매는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또한, 매장에 진열된 상품 구성과 그 수량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Rekon Retail 창립자, Rebekah Kondrat
1. 매장 성과 측정 및 비교
여러 측면에서 제곱피트당 판매는 매장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상품 연출) 역량을 평가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매장 레이아웃, 상품 구성, 직원 등 리소스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5,000제곱피트 규모의 매장에 진열대가 겨우 세 개뿐이라면, 매장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경우, 제곱피트당 판매 수치를 계산해 보면 매출 효율이 상당히 낮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상품 진열 결정에 정보 제공
소매업체들은 항상 ‘지금 진열된 상품이 과연 적절한가?’라는 고민을 합니다.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반영한 상품 구성을 만드는 일은 결코 쉽지 않으며, 이럴 때 제곱피트당 판매 지표가 유용하게 쓰입니다. 어떤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더 잘 팔리는지 파악해, 보다 스마트한 상품 진열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매장 디스플레이 공간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 상품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런데 제곱피트당 판매 수치를 분석해보니 이 상품이 전체 매출의 50%밖에 차지하지 않는다면, 이 제품에 할당된 공간을 줄이고 다른 제품에 더 많은 공간을 할당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3. 직원 성과 분석
제곱피트당 판매는 단순히 공간 활용만이 아니라, 직원들의 판매 역량을 측정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즉, 매장에 진열된 제품을 얼마나 잘 활용해 실제 매출로 이어지게 하느냐를 볼 수 있는 지표인 것이죠. 이를 통해 직원들에게 추가 교육이 필요한지, 혹은 인력 교체가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제곱피트당 판매를 시간당 판매량(SPMH, Sales Per Man Hour)과 비교하면 직원 한 명당 생산성까지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시간에 따른 트렌드 식별
제곱피트당 판매 데이터를 월별 혹은 연도별로 비교 분석하면, 특정한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즌별 트렌드는 매출 성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지난 연말 시즌에 핫초코용 머그컵 판매량이 급증했다면, 이번 연말을 앞두고 다양한 종류의 머그컵을 미리 준비해 둘 수 있습니다. 이렇게 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사전 준비는 매출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의 한계
그동안 제곱피트당 판매는 매장 성과를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였습니다. 하지만 팬데믹을 계기로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소비 행태가 빠르게 전환되면서, 이 지표의 중요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1. 옴니채널을 고려하지 않음
소매업체들은 이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판매 채널을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제곱피트당 판매 지표는 오늘날 소매 비즈니스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비교 지표
온라인 판매로의 지속적인 전환 등 여러 요인 때문에, 제곱피트당 판매를 단독으로 성공 지표로 삼기는 어렵습니다. 비즈니스 전체 성과를 평가하려면 이 지표를 다른 관련 산업 지표들과 함께 활용해야 합니다.
3. 전자상거래에 적용되지 않음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매출이 전 세계 소매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곱피트당 판매는 오프라인 매장에만 적용되는 지표이기 때문에, 순수 온라인이나 온라인 비중이 큰 소매업체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소매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 계산 방법
제곱피트당 판매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했으니, 이제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지표를 계산하려면, 매장 내 총 판매액을 매장에서 실제 판매 가능한 면적(제곱피트)으로 나누면 됩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 총 매출액 ÷ 매장 판매 가능 총 면적(제곱피트)
예를 들어, 철수가 운영하는 한 의류 매장(2,000제곱피트 규모)에서 지난 한 달간 약 1억 원 상당의 상품을 판매했다고 가정하면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억 원 ÷ 2,000 제곱피트 = 제곱피트당 50,000원
즉, 이 매장의 제곱피트당 판매액은 50,000원입니다.
소매에서 좋은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 기준은?
제곱피트당 판매액은 소매업 분야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업계 선두주자인 Apple과 Tiffany & Co. 같은 기업들은 작은 매장에서 고가 상품을 판매하며 높은 수치를 기록합니다. Apple은 제곱피트당 약 5,500달러(약 750만 원), Tiffany & Co.는 약 3,000달러(약 39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반면, Walmart와 Target 같은 브랜드는 각각 제곱피트당 약 400달러(약 52만 원), 300달러(약 39만 원)정도의 매출을 기록합니다.
즉,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으려면 내 매장의 제곱피트당 판매액을 직접적인 경쟁사와 비교해야 합니다. 이때는 비슷한 소매 카테고리에 속한 경쟁사와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1,000달러(약 130만 원)짜리 고급 재킷을 판매하는 매장과 20달러(약 3만 5천 원)짜리 티셔츠를 파는 매장을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원화 환율 계산 기준은 2025년 6월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 늘리는 방법
- 장바구니 구매 금액 늘리기
- 매장 레이아웃 개선하기
- 로열티 프로그램 구축하기
- 매장 내 이벤트 열기
- 지역 마케팅 강화하기
- 직원 교육 강화하기
- 상품 구성 최적화하기
- 온라인 고객 활용하기
여기 제곱피트당 매출을 높이기 위해 구현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전략을 소개합니다.
1. 장바구니 구매 금액 늘리기
앞서 언급했듯이, 주얼리나 전자제품처럼 고가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은 제곱피트당 판매액이 항상 높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제곱피트당 판매를 늘리려면 거래당 구매 금액을 높여야 합니다. 일상용품을 판매하는 상점이라면 장바구니 구매 금액을 늘리고 고객이 더 많이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 전문가 팁: 앱을 사용하여 더 효과적으로 업셀링 및 크로스셀링을 시도해 보세요. Marsello 및 Frequently Bought Together와 같은 앱은 Shopify POS와 통합되어 고객의 장바구니에 추가된 제품을 기반으로 매장 직원에게 제품을 추천하여 관련 제품을 제안하고 장바구니 금액과 주문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매장 레이아웃 개선하기
매장 레이아웃은 제곱피트당 판매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혼잡해 보이는 공간을 최적화하고, 정돈되지 않은 구석은 깨끗하게 정리하세요. 매장이 넓고 쾌적하게 느껴지도록 하고, 진열대와 안내판의 위치를 조정해 매장 내 동선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로열티 프로그램 구축하기
충성도 프로그램은 고객이 매장에서 더 많이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고객이 계속해서 보상을 받기 위해 다시 방문하도록 장려합니다. 가장 흔한 충성도 프로그램 중 하나는 구매 시마다 적립되는 포인트 제도로, 고객은 구매할 때마다 적립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시작하기: Shopify 앱 스토어에서 수백 개의 로열티 앱 중에서 선택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구매에 대해 고객에게 보상을 시작하세요.
4. 매장 내 이벤트 열기
코로나가 가져온 전 세계적인 봉쇄 조치로 인해 매장 내 경험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는 2021년에 미국의 매장 고객 유입이 43.8% 증가한 이유입니다. 매장 내 이벤트는 고객의 쇼핑 경험을 개선하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5. 지역 마케팅 강화하기
사업장이 위치한 동일한 도시나 지역에 있는 지역 고객을 타겟팅하는 것도 매장 평당 매출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전략입니다. 이는 특정 장소에 연계된 레스토랑이나 부티크 소매점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6. 직원 교육 강화하기
또 다른 효과적인 전략은 매장 내에서 크로스셀링과 업셀링 같은 기법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이 더 많은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고객이 구매하는 제품과 잘 어울리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영업 직원을 교육하세요. 고객이 선택한 제품의 더 고가 버전인 제품을 권장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7. 상품 구성 최적화하기
매장 공간은 매우 소중합니다. 잘 팔리지 않는 제품을 진열하는 데 공간을 낭비할 수 없습니다. 특정 기간의 판매 및 재고 보고서를 활용해 다른 제품보다 더 빠르게 팔리는 상품을 파악하세요. 상품 구성을 잘 정리하고, 잘 팔리는 인기 상품과 컬렉션을 충분히 비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온라인 고객 활용하기
온라인 판매는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온라인 판매가 전 세계 소매 판매의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으로 상품을 둘러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제품 구매 시에는 매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BOPIS: 온라인 주문 후 매장 픽업(Buy Online, Pickup In-Store)서비스는 이제 고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트렌드입니다. BOPIS는 ‘클릭 앤 콜렉트’ 방식으로, 고객이 온라인에서 상품을 선택한 뒤 가까운 매장에 직접 방문해 상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홈 인테리어 체인인 Lowe’s는 2019년에 BOPIS 개념을 도입했으며, 현재 미국 내 매장에 픽업 락커도 도입하고 있습니다.

- BORIS: 온라인 구매 후 매장 반품(Buy Online, Return In-Store)은 매장 평당 매출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옴니채널 전략입니다. 이 경우 온라인 고객은 상품을 반품하기 위해서만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합니다. 이 개념은 고객이 보다 쉽게 반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한편, 비수기에는 유용하지만, 성수기에는 매장 내 혼잡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매장에서 제곱피트당 판매 매출 개선하기
평당 매출도 중요하지만, 매장의 성공을 평가하는 유일한 지표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매장 내 경험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법을 고민하세요. 더 많은 사람들이 매장을 방문할수록 더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습니다!
제곱피트당 판매 FAQ
가장 높은 제곱피트당 매출을 기록한 곳은 어디인가요?
Costco는 일반적으로 소매업체 중 평당 매출이 가장 높은 곳으로 평가되며, 평균 평당 매출은 약 1,638달러(약 226만 원)에 달합니다.
제곱피트당 매출은 매장 성과의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인가요?
네, 평당 매출은 매장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며, 매장 운영과 자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매업체는 경쟁사보다 더 높은 평당 매출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